임태희 교수님은 현재 용인대 태권도 학과에서 교수로 재직중이시며, 한국스포츠 과학원장과 한국 스포츠 인성 코칭 학회장직을 겸하고 계십니다. 임 교수님의 전문 연구 분야인 스포츠 심리학을 바탕으로 인성교육에 관련된 연구와 저서집필 활동을 하시며, 태권도 교육에 가치를 높이는 활동을 활발하게 하시고 계십니다. 저희 태권US를 위해서 태권도 인성교육 시리즈를 보내 주셨으며 많은 미국내외의 사범님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임태희 교수님을 비롯하여 수고해 주신 교수님 연구실 및 협회의 스테프분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Taekwon US 운영팀]
--------------------------------------------------------------------------------------------------------------------------
며칠 뒤 배 사범은 라이프스킬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임 교수를 다시 찾았다.
---------------------------------------------------------------------------------------------------------------------------
배 사범: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별 일 없으셨죠?
임 교수: 그럼 나야 늘 잘 지내지. 사실은 며칠 전에 배 사범하고 이야기를 나눈 뒤로 나도 많은 생각을 해봤어. 배 사범조차 라이프스킬이라는 개념을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데... 어떻게 하면 다른 관장님들이나 사범님들이 라이프스킬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이 생겼어.
배 사범: 그러셨군요. 사실 저도 그 부분이 궁금해서 며칠 동안 고민이 들었습니다. 주변 사범들하고도 이야기를 나눠봤는데 다들 알쏭달쏭한 표정이더라고요. 교수님, 저번에 말씀하시기를 태권도에서 어떻게 라이프스킬 교육이 가능한지를 알려주신다고 하셨습니다. 오늘은 이 내용에 대해서 설명해주실 수 있으십니까?
임 교수: 참, 그때 그 이야기를 하다가 말았군. 우선 라이프스킬의 개념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이해가 됐나?
배 사범: 음~ 수련생들이 살아가면서 필요한 다양한 역량이나 능력들을 일종의 기술로 바라보고 이를 연습함으로써 발달시키는 것 아닙니까? 제가 이해한 바로는 의사소통 기술이나 대인관계 기술, 자기관리 기술, 갈등해결 기술, 자기생각 표현 기술, 시간관리 기술 같은 것들이 포함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임 교수: 저번보다 훨씬 명확하게 잘 알고 있네. 자 그럼 어떻게 태권도를 통한 라이프스킬 발달이 가능한지 차근차근 설명해줄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