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교수님은 현재 용인대 태권도 학과에서 교수로 재직중이시며, 한국스포츠 과학원장과 한국 스포츠 인성 코칭 학회장직을 겸하고 계십니다. 임 교수님의 전문 연구 분야인 스포츠 심리학을 바탕으로 인성교육에 관련된 연구와 저서집필 활동을 하시며, 태권도 교육에 가치를 높이는 활동을 활발하게 하시고 계십니다. 저희 태권US를 위해서 태권도 인성교육 시리즈를 보내 주셨으며 많은 미국내외의 사범님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임태희 교수님을 비롯하여 수고해 주신 교수님 연구실 및 협회의 스테프분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Taekwon US 운영팀]
--------------------------------------------------------------------------------------------------------------------
윤 사범은 사범이 수련생에게 하는 말과 행동이 교육에서 중요하다는 것에 의문이 든다. 잘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상점카드나 선물 같은 물질적인 것으로 수련생이 잘 따르도록 하면서 가르치면 되지 않을까? 그런데 임 교수님은 사범의 말과 행동이 수련생에게 모범이 되도록 좋은 본보기 되어야 한다고 하신다. 어떤 뜻에서 보여주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시는 걸까? 윤 사범은 이 의문을 풀고 가야겠다고 마음먹는다.
--------------------------------------------------------------------------------------------------------------------
윤 사범: 교수님 저는 수련생을 잘 가르치고 싶은데, 그게 뜻대로 안 될 때가 있어요. 그리고 수련생들에게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고요. 무엇보다 저 스스로가 답답하고 속이 터질 것 같을 때가 있어요. 그럼 인상을 쓰게 되고, 소리를 지르게 되고. 결국 멘붕이 온다니까요, 잘 가르친다는 것 정말 어떤 의미인가요? 어떻게 해야 잘 가르칠 수 있는 건가요?
임 교수: 윤 사범이 정말 중요한 질문을 했어. 사범이라면 누구나 수련생이 가르치는 대로 잘 따라하고 배우길 바랄 거야. 하지만 태권도에서 가르친다는 것은 무언가를 주는 것이 아니라 보여주는 것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할 것 같아. 우리는 그것을 모델링(modeling) 교육이라고 하거든.
윤 사범: 모델링이요? 그건 또 뭐죠?
임 교수: 사실 인성이나 역량교육은 지식이나 정보를 억지로 주입하거나 가르쳐서 개발된다기보다 자기 주도적으로 개발하거나 좋은 모델을 보고 자연스럽게 따라하는 모방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해. 심리학자들은 이것을 본보기 교육 즉‘모델링 modeli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오고 있다.
윤 사범: 본보기 교육? 모델링? 왜 이게 중요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