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교수님은 현재 용인대 태권도 학과에서 교수로 재직중이시며, 한국스포츠 과학원장과 한국 스포츠 인성 코칭 학회장직을 겸하고 계십니다. 임 교수님의 전문 연구 분야인 스포츠 심리학을 바탕으로 인성교육에 관련된 연구와 저서집필 활동을 하시며, 태권도 교육에 가치를 높이는 활동을 활발하게 하시고 계십니다. 저희 태권US를 위해서 태권도 인성교육 시리즈를 보내 주셨으며 많은 미국내외의 사범님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임태희 교수님을 비롯하여 수고해 주신 교수님 연구실 및 협회의 스테프분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Taekwon US 운영팀]
임 교수: 자 그럼 라이프스킬 발달을 위해 필요한 두 번째로 ‘마음의 욕구’에 관해 이야기해 볼까? 첫 번째 요소는 수련생이 최선을 다해서 무언가 하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하는 ‘내적 동기’를 심어주는 거였어. 이를 위해서는 수련생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자율성을 보장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 했었어. 그럼 두 번째 마음의 욕구는 뭐였는지 기억나니?
배 사범: 관계와 관련된 이야기였던 것 같은데… 맞나요?
임 교수: 맞아. 바로 ‘관계성’이야. 관계성은 수련생이 주변 사람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것을 의미하지. 또한 수련생들은 항상 주변 사람들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맺거나 안정된 집단에 소속되려고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어. 만약 이 욕구가 만족 되지 못하면 수련생들은 심리·정서적으로 불안정해지고 만족감이나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게 될 거야.
배 사범: 도장에서 수련생들을 가르치다 보면 지금 교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일부 수련생들은 내성적인 성향 때문에 친구들에게 쉽사리 다가서지 못하기도 하지만 아이들 대부분은 친구를 사귀거나 친해지려는 것처럼 관계를 맺으려고 부단히 노력하는 것 같아요. 관계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려는 마음의 욕구인 것 같아요.
임 교수: 그럼 당연하지.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사람은 태어나면서 죽을 때까지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살아가거든. 태어나면서부터 누군가의 손을 거치고 심지어 죽음을 맞이하거나 그 이후에도 누군가의 손을 거치잖아. 이처럼 사람은 한평생을 ‘관계’ 속에 살아가는 거야. 지금 배 사범과 나도 좋은 관계로 만나 이렇게 대화를 나누고 있잖아.
배 사범: 하하하 맞아요. 생각해보면 주변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갈등이나 사건들은 관계와 관련이 있는 것 같아요. 저조차도 주변 지인들이나 친구들과 가끔 갈등이 생기거든요. 어릴 때는 몰랐는데 요즘 들어서는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