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교수님은 현재 용인대 태권도 학과에서 교수로 재직중이시며, 한국스포츠 과학원장과 한국 스포츠 인성 코칭 학회장직을 겸하고 계십니다. 임 교수님의 전문 연구 분야인 스포츠 심리학을 바탕으로 인성교육에 관련된 연구와 저서집필 활동을 하시며, 태권도 교육에 가치를 높이는 활동을 활발하게 하시고 계십니다. 저희 태권US를 위해서 태권도 인성교육 시리즈를 보내 주셨으며 많은 미국내외의 사범님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임태희 교수님을 비롯하여 수고해 주신 교수님 연구실 및 협회의 스테프분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Taekwon US 운영팀]
---------------------------------------------------------------------------------------------------------------------------
지난 시간 임 교수와 배 사범은 태권도를 통한 라이프스킬 교육이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배 사범은 태권도장 자체를 ‘인생의 축소판’으로 가정하고 이해해보기로 했다. 수련생들이 태권도장에서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듯이 일상(학교, 가정, 놀이 등)에서도 충분히 성공과 실패를 경험한다. 태권도장에서 기술숙달을 위해 목표설정과 문제해결 능력이 필요하듯이 일상에서도 목표를 설정하고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이처럼 태권도장과 일상이라는 두 환경을 놓고 비교해보니 이해가 쉬웠다. 이윽고 배 사범은 태권도장에서 라이프스킬 교육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러나 배 사범에게는 아직 풀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남았다. 배 사범은 수련생들이 태권도장에서 배운 라이프스킬이 어떻게 삶에서 실천될 수 있는지 궁금했다. 수련생들의 행동이 태권도장과 일상에서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자주 목격했기 때문이다. 임 교수는 배 사범에게 ‘연결고리’를 찾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연결고리? 배 사범의 호기심은 더 커져만 갔다.
---------------------------------------------------------------------------------------------------------------------------
배 사범: 연결고리요?
임 교수: 그래, 연결고리 말이야. 수련생들은 태권도와 일상을 서로 동떨어진 섬처럼 생각하고 있으니 그 사이를 건너갈 수 있도록 다리를 놓아줘야 하지 않겠어?
배 사범: 그렇죠.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저는 현장에서 수련생들의 다른 모습들을 자주 목격하거든요. 태권도장에서는 분명히 예의바르고 착한 아이인데 가끔 학교 선생님이나 학부모에게 이야기를 들어보면 꼭 그렇지도 않